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swift 5.9
- ios
- swift database
- uitableviewdiffabledatasource
- JSON
- swift db
- xcode
- RxSwift
- Firebase Analytics
- swift
- Subscribe
- Firebase
- ios database
- KeyPath
- Tuist
- SwiftUI
- Subject
- GCD
- realm
- combinecocoa
- SeSAC
- 네트워크 통신
- arc
- Swift Tuist
- Combine
- swift 6
- observable
- Tuist Swift
- ribs
- 카카오뱅크 ios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PublishSubject (1)
천원의 개발

Observable vs Subject Observable은 이벤트를 방출 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Observable을 구독하는 Observer는 이벤트를 받아서 처리 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. 그런데 Observable은 새로운 값을 추가 할 수 없습니다. 그래서 새로운 값을 추가 하고 그것을 방출할 수 있는 객체가 바로 Subject입니다. Subject문서를 확인해 보면 Observable을 상속받고 있으며 ObserverType Protocol을 채택 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그래서 Subject는 Observable의 역할과 Observer 역할을 둘 다 수행할 수 있는 겁니다. 이번에는 ObserverType을 확인해 보면 on 함수가 있는데 이 on함수를 통해서 Observer로 이벤트..
iOS&Swift🍎/RxSwift
2022. 10. 27. 02:1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