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OS&Swift🍎/Swift
Swift 메모리 구조 정리
천 원
2023. 1. 12. 20:03
메모리에는 총 4가지의 영역이 있습니다.
가장 먼저 코드 영역은 작성한 코드가 기계어 형태로 저장이 되는 공간입니다. 컴파일 타임에 결정이 나며 Read-Only 형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다음으로 데이터 영역입니다. 여기에는 전역변수 Swift에서는 Static으로 선언한 Type 변수들이 할당되는 공간입니다.
다음으로 힙 영역입니다. 동적으로 메모리를 할당하는 공간입니다. 프로그래머가 직접 할당 및 해제를 해주어야 하지만 Swift에서는 ARC 덕분에 직접 해제 및 할당하지 않아도 됩니다. 참조 타입의 값들이 힙 영역에 저장이 됩니다. 그럼으로 런타임에 크기가 결정이 납니다.
마지막으로 스택 영역입니다. 지역 변수 및 매개 변수 등이 스택 영역에 저장이 됩니다. 이 영역의 변수들은 함수 호출이 종료되는 시점에 메모리에서 해제됩니다. 힙 영역과는 반대로 컴파일 시점에서 크기가 결정이 납니다.
힙 영역과 스택 영역은 같은 메모리 공간을 가지고 있습니다. 힙 영역은 낮은 메모리 주소 부터 할당하고, 스택 영역은 높은 메모리 주소 부터 할당합니다.
스택 오버 플로우
스택에 너무 많은 메모리를 할당하게 되어 자신의 스택을 초과하는 경우입니다.